1. 원본 문자열을 컨버팅 하고 그것을 A 라고 칭함 > 컨버팅: 해시(hex) > 2진수 변환 2. 원본 문자열 에서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알파벳일때만 바로 다음(a>b, b>c) 로 변환한다. > 단 다음이 없는 경우는 바로 이전것으로 변환한다. (z > y) 3. 2번을 컨버팅 한것 하나 하나가 B 이라고 칭하고 A 와 모든 B들을 하나하나 XOR 연산을 한다. 4. XOR 연산을 한 결과들을 그래프로 그린다. def to_hash(string): import hashlib encode_str = string.encode() return hashlib.sha1(encode_str).hexdigest() def to_bin(hex_str): return bin(int(hex_str, 16)) def ..
해시 해시(hash)란 다양한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매핑(mapping)한 값이다. 중국어로는 하시(哈希, 합희, hā xī)라고 한다. 이를 이용해 특정한 배열의 인덱스나 위치나 위치를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값을 이용해 저장하거나 찾을 수 있다. 기존에 사용했던 자료 구조들은 탐색이나 삽입에 선형시간이 걸리기도 했던것에 비해, 해시를 이용하면 즉시 저장하거나 찾고자 하는 위치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해시값이라고도 한다. '해쉬'가 아니라 '해시'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해시는 암호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블록체인(blockchain)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무결성 해시는 특정한 데이터를 이를 상징하는 더 짧은 길이의 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미지 비교
- django chatbot
- 파이썬 독학
- 파이썬
- 장고 카톡 자동응답
- 면접답변
- 모바일 테마 적용
- 장고 플러스친구 자동응답
- chatbot
- 플러스친구 자동응답
- 엑셀 비교
- 모바일 스킨 적용
- pycrypto
- GIT
- 장고
- 파이썬 프로그래밍
- 파이썬 입문
- virtualenv
- 파이썬 강좌
- Python
- wsgi
- 문과 코딩
- PuTTYGen
- Tistory
- gitignore
- 문서 비교
- django
- gitlab
- admin.py
- 면접정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